의병장 강기동, 장군의 아들 김두한, 박헌영의 비서 박시현, 남로당 조직책 이중업...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? 바로 일본군이 만든 ‘용산위수감옥’을 거쳐 갔단 사실이다. 시대마다 이름은 달랐다. 위수감옥, 미 제7사단 구금소, 육군형무소 그리고 해당 건물은 지금도 옛 모습을 간직한 채 용산 미군기지에 자리하고 있다.서울 용산구(구청장 성장현) 용산문화원이 30일 오전10시부터 오후6시까지 ‘용산위수감옥(이하 위수감옥)의 역사를 찾아서’ 학술심포지엄을 연다.행사 장소는 용산문화원 3층 대강당이며 코로나19 상황을 감안, 참석인원을 제
댓글
댓글 쓰기